나는 누구인가. (137) 썸네일형 리스트형 HTTP 응답 메시지의 상태 코드들 정리. [네트워크 면접 질문2] HTTP 응답(상태) 코드 면접 질문. 나의 대답. 면접 때 HTTP 상태 코드들에 대해서 설명해달라는 질문을 받았다. 확실하지 않은.. 흐릿한 기억으로 생각나는 것들을 답변했고.. 지금 돌아보면 카테고리가 죄다 틀린 대답들이었다. 이 대답은 점수를 얻기는커녕 마이너스였을 것이다. WHY 해당 면접 질문의 목적은 무엇일까. HTTP 응답 메시지를 공부하면서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스프링 프로젝트 진행할 때 스프링 fox 프로젝트의 swagger를 통해 REST API를 문서화할 때 HTTP의 응답 코드들을 같이 문서화했었다. REST API는 글로벌한 표준이 없이 철학적인 가이드라인만 제시해주기에 프로젝트마다 REST API를 문서화해서 표준을 지키도록 이끌어야 한다. 자체적인 표준 REST API의 .. HTTP의 GET과 POST 메서드 비교. [ 네트워크 면접 질문1 ] 들어가기 전 면접 때 해당 질문을 받았다. 현재 많은 내용을 습득한 결과... 정말 수준이 낮은 대답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사실상 현대의 많은 비즈니스 서비스들이 웹 위에서 구동되고 있는데 웹 서비스의 핵심 소통수단이 바로 HTTP(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이다. GET, POST는 HTTP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 GET은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가져와달라는 요청이고 POST는 데이터가 서버로 들어가야 함을 보내는 요청이다. 둘 다 HTTP 요청이지만 많은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HTTP의 GET과 POST 질문에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면... 네트워크 부분에서 좋지 않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GET.. 2021년 하반기 취업준비 돌아보기. 생각보다 벽은 높았다. OS, 네트워크, 자바, 스프링,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DB 그동안 잘 이해했다고 생각한 기초 지식들을 말로 설명하고자 하니.. 실속 없는 설명들만 나왔다. 표면만 이해하고 세부적인 내용에는 거리가 먼 대답들만 나왔고 조금만 깊게 질문이 들어오면 이상한 답변만 늘어놓았다. 내가 가진 지식이 불안정했다. 모르면 모른다고 하면 될 것인데..왜 그러지 않았는지도 후회되고 아쉽다. 카카오 상시 모집과 관련된 면접은 개인적인 문제가 있었는데도 이를 이해해주고 면접 기회를 주셔서 정말 감사했다. 그날의 면접 경험으로 나의 지식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고 나를 다시 돌아보게 된 경험이 되기도 했다. 이외에는 면접기회가 거의 없었다. 취업준비를 더 단단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습관의 힘. [책 리뷰][2021] [구조속에서의 삶][찰스 두히그] The Power of Habit. [ 찰스 두히그 ] 습관은 생각보다 파급력이 강하다. [ 삶부터 뇌까지 변형시킨다. ] 이 책 도입부에서 한 여성분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계속 실패하는 다이어트. 낙심한 그녀는 여행을 떠나고 거기서 기존의 생활과는 다른 삶을 경험하게 되면서 그 상태로 다른 삶으로 나아가 버린다. 그녀는 그녀를 옭아매고 있었던 구조적인 습관들에서 탈피했고 그 탈피한 기쁨의 추진력으로 삶을 개선해나갔다. 신기한 것은 삶의 변화가 그녀의 뇌까지 모든 것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하루아침에 사람이 변했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놀라운 일이다. 어떤 일이 생긴 것일까. 바로 그녀의 핵심 습관이 바뀐 것이다. 책의 소개된 바에 따르면 그녀는 그녀에게 가장 큰 파급력을 주는 "핵심 습..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조성호- [6/7] [훌륭한 운영체제 입문서][리뷰][2021] 담백한 운영체제 입문서. 요리라는 메타포로 운영체제의 개념들을 쉽게 이해해보다. [요리책!] 추천도 : 6/7 ★★★★★★☆ 읽은 기간 📅 : 2021년 9월 30일 ~ 2021년 11월 18일. [ 하루 1~2 뽀모도로] 이 책을 추천하는 이들 👨👧 운영체제 전반을 공부해야 하는 사람들. 사실상 모든 컴퓨터 공학도들. 난이도 🦈 중. [ 요리에 대한 메타포를 통해서 운영체제의 정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그래도 내용이 많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관련된 책들 📚 네트워크관련 책 기초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책 한 줄 평 ✍️ 컴퓨터 자원의 절대적인 관리자인 운영체제를 깊게 들여다보다. 운영체제의 전체를 공부한 것은 처음이다. 학부 3학년때 운영체제 수업을 들었다. 컴퓨터 구조론과 시스.. 우아한 테크 -쿠키- [ + 쿠키과 세션 ] [네트워크][웹] 쿠키를 왜 사용할까? [ 어딘가에 있을 비효율성을 찾아내라!! ] HTTP는 응용 계층 수준에서의 프로토콜이다. HTML 문서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인 HTTP는 안정적인 TCP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연결을 설정한다. [ 쿠키와 세션은 TCP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며서 생기는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다. ] HTTP 프로토콜에서 드러나는 비효율성 2가지. [ 비연결 지향, 상태 없음 ] 쿠기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반복되는 요청과 응답 구조에서 HTTP 프로토콜이 가지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HTTP의 비연결지향(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web)이 요청을 서버에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응답을 주는데 응답 이후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연결을 끊는 특성이.. JPA repository 사용시 무한 순환에 빠지는 문제(Equals and HashCode) [lombok] 좋은 글 : lombok 라이브러리와 하이버네이트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https://thorben-janssen.com/lombok-hibernate-how-to-avoid-common-pitfalls/ Lombok & Hibernate: How to Avoid Common Pitfalls Lombok is incredibly popular for basic Java classes. But it introduces some dangerous pitfalls when used together with Hibernate. thorben-janssen.com Lombok 라이브러리를 생각없이 사용하다가 수백 분을 날려버렸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진행 중에 1 to N 관계의 테이블을 사용하게 되었다... 우아한 테크 -Servlet & Spring 리뷰(1) - [ CGI와 Servlet에 대하여 ] 발표자 규동(2020) 타미(2020) 코기(2021) 규동님과 타미님은 CGI부터 서블릿, DispatcherServlet까지 설명해준다. 코기님은 실제 요청 처리에 대해서 현대식으로 깔끔하게 설명해주었다. 당시의 배경 1989년 인터넷 시대의 획을 긋는 역사가 탄생한다. 팀 버너스라는 연구원은 그가 속한 연구실(스위스 제네바의 CERN 연구소)에서 컴퓨터간 데이터 교환 처리 방식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자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월드와이드웹의 하이퍼텍스트(HyperText : Text의 힘을 뛰어넘는(하이퍼 링크)) 시스템을 고안한다. 해당 시스템 제안서에는 URL(유일 자원 식별자), HTTP(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HTML(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에 대한 최초 설계가 제안된다. 마.. 이전 1 ··· 3 4 5 6 7 8 9 ··· 18 다음